[국어사] (放通大 2010-2 국어사 공통)훈민정음의 창제에 대하여 세종의 친제(親製)임을 주장한 논문과 명분상의 어제(御製…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30 19:16
본문
Download : 29훈민정음111[2].hwp
- 많은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참고reference(자료)] 김남돈, 훈민정음 창제 동기와 목적에 관한 국어학사적 고찰, 1999
1) 세종이 친제를 밝히고 있는 기록
국어사, 훈민정음, 훈민정음의창제, 세종의친제, 명분상의어
![29훈민정음111[2]-9625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009/29%ED%9B%88%EB%AF%BC%EC%A0%95%EC%9D%8C111%5B2%5D-9625_01.gif)
![29훈민정음111[2]-9625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009/29%ED%9B%88%EB%AF%BC%EC%A0%95%EC%9D%8C111%5B2%5D-9625_02_.gif)
![29훈민정음111[2]-9625_03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009/29%ED%9B%88%EB%AF%BC%EC%A0%95%EC%9D%8C111%5B2%5D-9625_03_.gif)
![29훈민정음111[2]-9625_04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009/29%ED%9B%88%EB%AF%BC%EC%A0%95%EC%9D%8C111%5B2%5D-9625_04_.gif)
![29훈민정음111[2]-9625_05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009/29%ED%9B%88%EB%AF%BC%EC%A0%95%EC%9D%8C111%5B2%5D-9625_05_.gif)
일반적으로 훈민정음은 세종대왕이 창제하였다고 알고 있다. ㆍ세종과 여러 학자들의 협찬으로 이루어졌다는 설이다. 다만 과거의 history라는 부분이 정확히 전해 내려오지 않아서 여러 학자들로 하여금 여러 가지 가설을 제시하게 되는데 그러한 가설 중에서도 ‘누가’ 만들었는가에 초점을 맞춰보기로 하겠다.
- 국어국문학과 4학년 국어사 공통 참고자료입니다 - 다양한 자료를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 많은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참고자료] 김남돈, 훈민정음 창제 동기와 목적에 관한 국어학사적 고찰, 1999 이근수, 훈민정음 창제와 조선왕조, 1996
순서
Download : 29훈민정음111[2].hwp( 25 )
1. 서 론
- 다양한 reference(자료)를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국어사] (放通大 2010-2 국어사 공통)훈민정음의 창제에 대하여 세종의 친제(親製)임을 주장한 논문과 명분상의 어제(御製)임을 주장한 논문을 각 1편 이상씩 찾아 읽은후, 그들 견해가 각각 어떠한 사실에 근거하고 있는지를 서술하라
- 국어국문학과 4학년 국어사 공통 참고reference(자료)입니다
ㆍ세종의 밝은 지혜와 통찰력에 의해서 창제되었다는 설이다.
다. 이 설은 상당히 절충적인 것으로 제 기록들을 인정하면서 협찬자들의 실질적인 공로를 평가한 것이다. 훈민정음은 세종의 친제이며, 해례본을 지은 여덟 선비의 협찬으로 이루어졌다는 것이다. 물론 세종대왕은 역대의 군주 가운데 명군이며 훈민정음 창제에 지대한 공헌을 했다는 것도 사실이다.
설명
2. 본 론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2) 명분상의 어제임을 밝히고 있는 기록
1. 서 론
3. 결 론
ㆍ여러 신하들과 상의하여 추진하였으며, 언어사상이 독창적인 것이 되지 못한다. 세종과 세종대의 선비들이 가진 언어사상이란 전적으로 China사상에 의거한 것으로, 결코 우리나라에서 자연 발생적으로 조성 된 것도 아니며, 따라서 China의 학풍과 유린된 것도 아니라는 것이다. 그러나 훈민정음이 세종대왕 혼자 만들었는가 물론 훈민정음이라는 언어를 온전히 혼자 만든 것이 아니라 모티브를 따온 여러 언어에 관한 기원설도 있다.
이근수, 훈민정음 창제와 조선왕조, 1996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창제했다는 이 말이 과연 맞는 말인가? 그 공이 세종에게만 돌아가는 것이 과연 타당한 것인가? 이러한 문제들을 국어학사에서는 다음 같이 다루고 있다. 훈민정음의 서문, 정인지의 해례서문, 세종실록 및 기타기록의 [어제, 친제] 등을 받아들여 세종대왕이 제 했다는 것이며 세종의 독창성을 강조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