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뢰즈의 예술 현상학 : 살, 집, 우주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17 17:07
본문
Download : 들뢰즈의 예술 현상학 살, 집, 우주.hwp
메를로-뽕띠의 시도라고 하는 것은 어떻게 보면 헤겔(적 의미에서)의 `즉자`/`대자`와 같은 구분을 거부하며, 또한 그 양자의 종합이라는 것에서도 해결책을 구하지 않는, 그 `둘 사이`에서 `유한한` 말하자면 미완성되고 불안정한 종합 속에서 추구1)하는 것이…(skip)
들뢰즈의예술현상학[살,집,우주]
Download : 들뢰즈의 예술 현상학 살, 집, 우주.hwp( 70 )
들뢰즈의예술현상학[살,집,우주] , 들뢰즈의 예술 현상학 : 살, 집, 우주인문사회레포트 ,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들뢰즈의 예술 현상학 : 살, 집, 우주
설명






다. 그러한 대위항들의 변증법적 관계에 대해 ― 말하자면, 헤겔적인 의미에서의 변증법적 지양에 대해 ― 프랑스의 현대 철학은 계승과 극복을 시도했다고 볼 수 있겠다. 그러한 시도들 중에서 무엇보다 돋보이는 현상학적 철학의 관점은 계승보다는 극복의 노력으로 읽어야겠는데, 그 노력들은 다양한 철학적 주장들 속에서 다른 방식으로 계속 진행되고 있다 아마도 그것들은 메를로-뽕띠에서 출발해서 데리다나 푸코, 그리고 이 글에서 살펴볼 들뢰즈에 이르기까지도 끊이지 않고 내재적으로 관통하고 있는 문제의식들일 것이다.
1. 예술 현상학
2. 감각
3. 살, 집, 우주
i) 살(la chair/the flesh) :
ii) 집(house), 골조물(framework) :
iii) 세계(the universe), 우주(the cosmos) :
4. 영토화와 탈영토화
인간은 세상과 사물을 어떻게 지각하고 감각하는가? 인간이 세계-내-존재로써 다른 존재들을 바라보고 만나며 소통하는 방식은 어떻게 특별한가? 무엇보다도 인간이 예술 작품을 또는 미적 대상을 지각하는 것은 다른 존재와 사물들을 지각하는 것과 어떻게 구별되는가? 이러한 질문들을 전통적인 형이상학의 관점인 주관주의와 객관주의 또는 관념론과 유물론의 대위항 속에서 바라 본다면, 그들 중 한가지를 선택하는 문제로 환원되어 버릴 수도 있을 것이다.